내년 20대 총선 선거구 획정 작업이 결정적으로 ‘연동형 비례대표제’에 막혀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다.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을 요구하던 야당이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일부 수용한 이병석 정치개혁특별위원장 중재안(균형의석)이라도 받아줄 것을 요청하고 있지만 새누리당이 이를 거부하면서 공전을 거듭하고 있는 것이다.16일 여야에 따르면 새누리당과 새정치연합 지도부는 전날 정의화 국회의장의 주재하에 7시간 가량 선거구 획정 관련 협상에 나섰지만 또 다시 ‘빈손 종료’한 가장 큰 요인은 연동형 비례제 도입 문제였다. 여야는 지역구 의석수를 현행 246석에서 253석으로 늘리고, 비레대표 의석수(54석)를 47석으로 줄이는 안에는 잠정 합의한 상황이다. 다만 야당은 이 같은 합의의 전제 조건으로 연동형 비례대표 도입을 재차 요구하고 있다.야당이 ‘비례대표 의석 축소 불가’ 방침에서 한 발 양보하며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요구하고 있지만 새누리당이 ‘절대 불가’ 방침을 고수하는 것은 이 제도를 도입할 경우 과반 의석을 차지하기 힘들다는 판단에서다.현재 여야가 총선에서 채택하고 있는 비례대표 선출 방식은 병립형이다. 246개 지역구에서 소선거구제로 의원을 뽑고, 비례대표 의석수는 정당별 득표율에 따라 배분받는 방식이다.반면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비례대표 의석 배분 계산을 현행 54석만을 대상으로 하는 병립형과 달리 총 의석수(300석)을 대상으로 한다. 지난 19대 총선에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적용할 경우 여야의 의석 구조가 변하게 된다.새누리당은 19대 총선에서 42.8%의 정당득표율을 얻었다. 현행대로라면 3% 미만의 정당득표율은 계산에서 제외되므로 새누리당의 정당득표율은 46.12%가 돼 300석 중 138석을 확보하게 된다. 즉 3%미만의 수치는 제외한 나머지 값, 가령 98%를 100으로 설정, 백분율을 다시 계산하는 것이다. 따라서 새누리당은 19대 총선에서 지역구 127석을 확보했으므로 138석에서 127석을 뺀 11석만 비례대표 의원으로 채울 수 있다. 당시 자유선진당 의석수를 합해도 과반의석 확보가 불가능해진다.새정치연합의 경우 당시 민주통합당이 얻은 정당득표율 36.45%(3% 미만 제외시 39.29%)에 따라 전체 의석은 118석이 된다. 지역구 106석을 확보한 만큼 비례대표 의석은 12석을 차지하게 된다.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은 상대적으로 소수 정당에게 유리하다고 평가받는다. 당시 통합진보당이 연동형 비례대표제 하에서 19대 총선을 치렀다면 정당득표율이 10.30%(3% 미만 제외시 11.10%)에 달해 33명의 의원을 배출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새정치연합이 협상의 마지노선으로 제안한 ‘이병석 중재안’은 이 같은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일부 반영한 것이다. 현행 246석인 지역구 의석수를 260석으로 늘리되 지역구-비례대표 의석을 연동하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부분 적용해 정당득표율에 따른 의석수의 과반을 비례대표로 보장해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