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와 충청남북도의 10개 기초자치단체 시장·군수가 정부의 ‘중부권 동·서 내륙철도사업’에 공동대응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제3차 국가철도망 계획에 서해안과 동해안을 직접 연결하는 동·서 횡단축 노선망 ‘중부권 동·서 내륙철도 건설사업’에 포함시켜 달라는 10개 기초지자체의 공동건의문을 지난달 29일 국토교통부에 제출한 것이다. 공동건의문을 제출한 자치단체는 영주·문경시, 봉화·울진군 등 경북 4곳과, 서산·당진·아산·천안시 등 충남 4곳, 청주시와 괴산군 등 충북 2곳 등이다. ‘중부권 동·서 내륙철도 건설사업’은 이미 시·도에서 제3차 국가철도망 계획에 포함해 줄 것을 건의한 사업으로 경상북도에서 신청한 점촌-울진 구간과 충남도에서 신청한 서산 대산항-삽교 구간 및 아산-점촌 구간으로 총연장 340㎞, 약 8조5000억원의 사업비가 소요되는 대규모 국책사업이지만 국토의 균형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사업이다. 중부권 동서 내륙철도는 당초 제1차 국가철도망계획에 포함돼 있었으나, 제2차 국가철도망 계획에는 당장 경제성(BC)이 없다는 이유로 국토교통부에서 제외시킨 사업이다. 각 시군은 철도사업은 경제성만 추구하는 사업이 아니고, 국토 균형발전 등 낙후된 지역에 활력에 불어 넣어 줄 수 있는 중요한 국가사업을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만으로 당초 계획에서 제외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국토의 중심부이면서 산맥으로 양분되는 등 철도와 도로망의 오지로 남아 있는 곳이고 보면 진작 건설했어야 할 사업이다. 현재 남북축 위주 국가철도망에 중부권 동·서를 횡단하는 내륙 철도망 건설로 네트워크를 완성함으로써 원활한 수송체계 확보와 물류비 절감 등 국토의 균형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서해안 신 산업벨트와 내륙산간 및 동해안 관광벨트 연결, 동·서간 신 개발축 형성 등 내륙산간지역 산업발전 유도, 민족의 자존심이 서려있는 독립기념의 활성화, 청주공항·세종시 정부청사 등 국가 기간망 연계성 제고, 경북도청-충남도청·충북도청소재지를 연계하는 행정축 완성 등 경제성만으로는 따질 수 없는 파급효과가 있다. 철도사업은 경제성만 추구하는 사업이 아니다. 국토 균형발전 등 낙후된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수 있는 중요한 국가사업이다. 10년, 20년이 아닌 50년, 100년 앞을 대비하는 국가철도망 계획으로 수립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