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는 한일 정부간의 12·28 위안부 협의에 대한 여야 의원들의 질타가 쏟아졌다. 전날 북한의 4차 핵실험과 관련, 대북 규탄 결의안을 채택하기 위한 회의였지만, 회의 시작부터 위안부 협의에 대한 비난이 터져나왔다.첫 질의에 나선 새누리당 이재오 의원은 “한일 협의문을 살펴보면 일본으로서는 ‘소녀상 이전을 한국 정부가 합의했고, 그 대가로 10억엔을 주기로 했다’고 할 수 있다”며 “추가 협상을 해 이 부분을 정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같은 당 김영우 의원도 “우리 정부가 위안부 할머니에게 마음으로 다가가야 하는데, 외교부 1차관이 한 번 찾아간 것이 다 아니냐”며 “정부가 노력한다고 느껴지지 않는다. 전혀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다.더불어민주당 심재권 의원은 “협의문을 보고 대한민국 정부가 소녀상 이전에 동의했다고 보지 않을 사람이 누가 있느냐”며 “왜 국민들을 속이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심 의원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상이 지난 4일 회견에서 한국 정부가 소녀상 이전을 해줄 것으로 안다고 했다”며, “협의문에 ‘국제사회에서 이 문제에 대한 상호 비난을 자제한다’는 말이 있는데 이게 무슨 헛소리냐. 유네스코 기록문화 유산에 위안부 기록물을 등재하지 않겠다는 것 아니냐”고 질타했다.그는 “지난 24년간 이렇게 나라를 팔아먹으려고 했으면 누가 못했겠느냐”며 “차라리 그냥 남겨둬야죠. 왜 10억엔을 받고 우리의 혼을 파느냐”고 질타했다.윤병세 외교장관은 이날 외통위 전체회의에서 소녀상 이전과 위안부 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 여부에 관한 질문을 받고 “민간 영역”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윤 장관은 심 의원으로부터 “우리 정부는 유네스코에 위안부 등재를 할 생각인가”라는 질문을 받고 “유네스코 등재는 민간에서 하는 것”이라며 “유네스코 등재는 민간 차원에서 이뤄지고, 우리 정부는 이래라 저래라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한일 위안부 협의에서 국제사회에서 상호비난을 자제하기로 한 것은) 모든 항목이 실행되는 것을 전제로 상호 자제를 하자는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