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6일 ‘수소탄 핵실험을 성공적으로 실시했다’고 발표했다. 2006년, 2009년, 2013년에 이은 4번째 핵실험이다. 국제사회가 핵실험 조짐을 전혀 눈치채지 못했다는 점에서 충격적이다. 조선중앙TV는 6일 낮12시30분 특별 중대보도를 통해 “수소탄 시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발표했다. 지난 2013년 2월 3차 핵실험 실시 이후 3년 만으로 우리 정부가 어떠한 징후도 포착하지 못한 것은 물론 과거와 달리 중국에조차 사전 통보를 하지 않을 만큼 전격적인 일이었다. 우리 정부와 국제사회로서는 허(虛)를 찔린 셈이다. 북한의 핵실험으로 남북관계는 또다시 급랭하고 말았다.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지난 1일 신년사에서 이례적으로 핵 개발 의지를 언급하지 않아 박근혜정부 4년차를 맞아 교착된 남북관계에 활로를 개척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적인 관측이 나왔지만 그게 아니었다. 불과 며칠 만에 초대형 도발을 감행함으로써 물거품이 돼버렸다. 뒤통수를 맞았다. 북한의 핵 도발의도는 분명하다. 밖으로는 자신의 핵 능력을 과시해 국제사회에서 핵보유국의 지위를 인정받고 대미 협상력을 높이며 대내적으로는 체제 결속력을 강화하려는 데 있다. 5월 7차 조선노동당 당대회를 앞두고 군사강국으로서의 과시와 대내 결속용일 것으로 보인다. 경제적 업적을 핵실험으로 덮으려 했다는 분석도 있다.북이 ‘수소탄 핵실험’에 성공했다고 주장하지만 정부는 정밀분석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수소탄위력이 원자탄의 100배 규모인 점에서 수소탄이 아니라 그 전 단계인 증폭핵분열탄 실험을 했을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이번 핵실험은 우리 안보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요소임에 틀림없다. 과거 세 차례 핵실험보다 위력이 센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남북관계가 걱정이다. 중국의 영향력이 미치지 않는 북한이다. 북의 핵 실험이 미국과 중국, 일본 등을 긴장시키겠지만 휴전선을 사이에 둔 남한에게는 그 이상이다. 북이 실제로 사용 가능한 핵무기를 보유하게 되면 첨예하게 대립 중인 남북한 군사력에 심각한 불균형을 가져오게 된다. 우리의 재래식 무기로는 핵무기를 당해낼 재간이 없다. 미국의 핵우산 아래 있다지만 일단 유사시에는 불안한 일이다. 무엇보다 북한이 핵을 포기하도록 할 결정적 대책이 필요해졌다. 그것만이 북핵에서 국민을 지킬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