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삼성직업병가족대책위원회(가대위)·반도체 노동자 건강과 인권 지킴이(반올림)가 12일 ‘재해예방대책’에 관한 최종 합의서에 서명하면서 삼성전자 백혈병 문제 최종 타결에 한 발짝 다가섰다. 이는 지난 8년간의 갈등을 딛고 ‘사회적 합의’를 끌어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3자 간의 갈등은 지난 2007년 반도체 공장 근로자 황유미씨의 사망으로 촉발됐다.이번에 3자는 조정위의 틀에서 ‘옴부즈맨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옴부즈맨위원회는 예방대책과 관련해 종합진단과 개선안을 제시하고 이행을 점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삼성전자는 그간 옴부즈맨 제도 도입에 대해 반도체 생산 기밀 유출 등을 이유로 난색을 보였다. 조정위의 3대 의제는 보상·사과·예방대책이다. 이 가운데 보상과 사과는 삼성전자 측과 가대위가 구성한 보상위원회에서 마무리되는 국면이다. 이 때문에 이번 예방대책 합의로 삼성전자 백혈병 문제의 사실상 타결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과제가 남아 있다. 나머지 핵심 쟁점인 삼성전자의 사과와 보상 부분이다. 반올림은 피해 제보자가 200명이 넘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호흡곤란증, 우울증 등 관련성을 발견하기 힘든 질병까지도 배제 없이 보상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실효성 있는 보상안 마련과 실행에 집중해왔다. 지난해 10월 보상을 신청한 퇴직 근로자 30명에게 1차 보상금을 지급하며 타결을 시도해왔다. 현재까지 삼성전자 직원과 협력업체 퇴직자 150여명이 신청, 100여명에 대한 보상은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사과 부분도 온도 차를 보인다. 반올림은 삼성의 사과도 미흡하다고 판단해 더욱 전향적인 사과를 요구하고 있다. 반올림의 협상대표이자 이번 논란의 최초 발단이 된 황상기씨 등 반올림과 연계된 10여명은 계속 보상을 거부하고 투쟁하고 있다. 반면 삼성전자는 삼성전자 백혈병 문제는 지난해 9월부터 조정 권고안을 바탕으로 실질적으로 사과와 보상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보상대상자에게 권오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명의의 사과문이 전달됐다. 이 사과문에는 “발병자와 가족의 아픔을 헤아리는 데 소홀한 부분이 있었으며 진작 이 문제를 해결했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했다”면서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삼성전자와 반올림의 반도체 직업병 문제에 대한 추후 견해는 엇갈렸다. 김지형 조정위원장은 “세 주체의 완전한 동의로 재해예방대책과 관련한 조정 합의가 이뤄졌다는 것 자체가 상당한 진전”이라며 “다만 재해예방대책에 대해서는 합의를 이뤘지만, 보상과 사과에 대해서는 견해 차이가 워낙 커 조정 논의가 보류됐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오랫동안 묵어왔던 이 문제가 당사자들의 대화로 합의에 이른 것을 뜻깊게 생각한다. 모든 당사자가 합의 정신을 잘 이행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반올림 황상기 대표는 “미흡하지만, 재발방지에 합의했다. 세 가지(사과·보상·재해예방대책) 문제 중 재발방지만 오늘 얘기를 한 것”이라며 “사과와 보상은 삼성 측의 거부로 얘기하지 못했다. 본관 앞 농성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