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지진 후속대책 추진이 정당별 단체별 제각각으로 효율적인 협상과 사업추진을 위해 창구가 단일화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포항11·15 범시민대책위원회’는 27일 오전 포항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특별법 제정에 적극 나서겠다”며 “4월 2일 육거리에서 대규모 궐기대회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이어 “청와대 국민청원에 시민들의 대대적인 참여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더불어민주당 포항남·북·울릉군 지역위원회도 이날 오전 포항시청서 기자회견을 열어 “특별법 제정에 동참하며 지열발전소 추진과정의 원인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위해 국정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현 정부에서 지진피해보상에 적극 나서온 만큼 지열발전소 추진과정의 문제점에 대해 낱낱히 조사해 보자”고 강조했다.정의당경북도당도 28일 오전 시청에서 포항시민사회단체 16개 단체와 공동기자회견을 열어 포항지진 정치선동 중단 및 특별법 제정과 진상규명을 위한 수사를 촉구할 계획이다.결국 이들은 특별법 제정이라는 큰 줄기에는 공감하고 동참하지만 각론에선 시민궐기대회 개최와 국정조사, 진상규명 수사 등 상호 다른 주장을 펼치고 있다.더욱이 지진 직후 피해지역민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또 다른 단체인 ‘포항지진범시민대책본부’는 이날 현재 현장접수와 SNS접수가 1만5000명을 넘어섰다며 소송을 위한 독자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당초 지진피해가 극심했던 흥해주민들은 ‘포항11·15범시민대책위’ 구성은 정작 피해당사자인 자신들은 제외됐다며 28일 흥해읍면을 중심으로 하는 또 다른 대책위 구성을 준비하고 있다.이에 포항지역은 지진피해배상을 위해 특별법을 제정하는 데는 이견이 없지만 관련 정당별 단체별로 입장이 서로 틀리면서 또 다른 분열상을 만들고 있어 조속히 협상 창구를 단일화해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하고 있다.A시의원은 “의회에서 조차 범시민대책위 구성에 대해 논의된 바 없다”며 “포항시가 시간에 쫓겨 여론수렴과정이나 간담회, 발기인 대회 등이 없이 졸속으로 범시민대책위를 구성하면서 사회 각계각층의 의견이 이제서야 용광로처럼 불거지면서 분열상이 연출되고 있다”고 질타했다.“이제라도 지역원로를 중심으로 정당이나 사회단체 모두가 참여하는 대승적 차원의 창구 단일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