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암세포의 성장에 있어 젖산(Lactate)의 새로운 기능을 규명했다.이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암의 증식뿐 아니라 전이를 제어하는 암 대사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경북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최연경·박근규 교수 연구팀은 암세포에서 특징적으로 증가하는 젖산이 신호전달물질로 작용해 ‘mTORC1’이라 불리는 단백질 복합체를 활성화해 암세포 증식을 유도하는 과정을 규명했다고 16일 밝혔다.젖산은 급격한 운동을 할 때 근육세포에서 해당작용(glycolysis)으로 세포 에너지원인 포도당이 분해될 때 생산, 분비된다. 근육통증을 유발하는 피로물질로 잘 알려져 있다. 해당작용은 세포가 당을 분해해 에너지와 생합성에 필요한 재료를 얻는 물질대사의 핵심적 과정을 말한다. mTORC1 단백질 복합체는 영양소가 충분할 경우 단백질과 지방의 생성을 촉진한다.건강한 세포에서는 mTORC1의 활동이 이뤄지며 정교하게 조절된다. 그러나 암세포에 있는 mTORC1은 과도하게 활성화돼 암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TORC1이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성장인자에 의해 TSC2-Rheb 결합이 줄어들어야 한다. 연구팀은 젖산이 성장인자가 없는 조건에서도 TSC2-Rheb 결합을 통해 젖산의 생성을 촉진하는 것을 규명했다. 최연경 교수는 “해당 연구는 고전적으로 호기성 해당 과정의 부산물로만 여겨지던 젖산이 암 세포 내에서 신호전달물질로 작용해 암의 성장과 증식에 기여한다는 것을 밝혀냈다는 데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한편, 이번 연구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지원으로 수행했으며 분자세포생물학 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엠보 리포트(EMBO Reports)’에 개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