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누리상품권을 되팔아 부당이득을 취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대구의 한 새마을금고 이사장과 관련해 중앙회 측이 사건을 은폐·축소하려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더하며 비난을 자초하고 있다.
중앙회 측은 해당 이사장 비위행위 의혹에 대해 취재가 시작되자 “경찰 고발조치는 확인된 바 없다”에서 “고발 진행과정의 세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로 하루 만에 입장을 바꿨다.
16일 뉴시스의 관련 취재를 종합하면 대구 서부경찰서는 새마을금고 이사장 A씨에 대해 횡령 등 혐의로 수개월째 조사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피혐의자인 이사장 A씨에 출석 통보가 이뤄지는 등 수사가 진행 중이다.
하지만 새마을금고 중앙회 측은 전날 본지 기자와의 통화에서 이사장 A씨에 대한 내부 징계를 검토 중이라는 답변과 함께 “경찰 수사에 대해서는 확인된 바 없다”고 단언했다.
수개월째 임원급인 금고 이사장에 대한 수사가 진행 중임에도 감독기관인 중앙회 측의 이같은 입장은 대외적으로는 ‘내부 징계’로 비리 근절 의지를 내세우면서도 사건을 최소화하려는 의도가 있는 게 아니냐는 의혹마저 더한 셈이다.
중앙회 측 관계자는 이에 대해 “고발 진행과정의 세세한 내용은 알 수 없었기 때문”이라며 “제3자에 의해 고발된 경우 중앙회 측에 보고할 법적 의무는 없다”고 답했다.
총 자산이 200조에 달하는 새마을금고는 상위 기관이 행정안전부로, 금융감독원 등의 규제를 받지 않는다. 각종 비리 의혹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새마을금고가 이사장의 비위행위가 있어도 감독기관인 중앙회에 보고할 의무마저 없어 내부 비리 근절에는 여전히 역부족이라는 비판을 자초하고 있다.
한편 대구시 서구의 한 새마을금고 이사장 A씨는 수년간 친인척과 지인 등을 동원해 온누리상품권을 되파는 방식으로 부당이득을 챙긴 의혹을 받고 있다.
이사장 A씨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사실과 다른 부분이 많다. 중앙회 조사나 경찰 수사에도 성실히 임할 것”이라면서 “시시비비를 가려 잘못된 부분이 드러나면 그때 가서 입장 전하겠다”며 해당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