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지역균형발전TF가 최초로 설치된 가운데 기업 현장에서는 수도권 간 격차 및 지방 소멸에 대한 위기의식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7일 대구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지역 362개사를 대상으로 최근 지역 경제상황에 대한 대구기업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기업 10곳 중 8곳(84.6%)에서 ‘지방 소멸에 대한 위협을 느낀다’고 답했다. 반면 ‘위협을 느끼지 않는다’는 답변은 15.4%에 그쳤다. 지방 소멸에 대한 많은 기업들의 불안은 수도권과의 불균형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전체 응답기업의 77.9%가 과거에 비해 최근 ‘대구와 수도권 간 격차’가 더욱 확대됐다고 답했다. ‘격차가 감소했다’는 응답은 8.0%에 불과했다. 문제는 대구기업의 위기감이 전반적인 분위기보다 더 심각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같은 기간 비수도권 지역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동일한 조사(비수도권 소재기업 513개사 응답)에서 ‘수도권 간 격차가 확대됐다’는 기업은 전체의 58.6%, ‘지방 소멸 위협을 느낀다’는 비율은 68.4%로 대구 기업의 수치보다 각각 19.3%p, 16.2%p씩 낮게 집계됐다. 대구소재 기업으로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조사대상의 40.1%가 ‘인력확보’로 답했다.  이어 ‘판로개척’(17.9%), ‘사업기회’(16.0%) 등 순이다. 이처럼 지역 간 불균형이 심화되는 가운데 그동안 정부가 추진해 온 기존 지역균형발전 정책에 대한 지역기업의 만족도는 높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지역균형발전 정책 추진이 계속해서 필요하다는 응답은 80%대 이상으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기업들은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 ‘지역 특화산업 육성’과 ‘지역 R&D 기반 구축’이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새 정부 최우선 과제로도 지역 특성에 맞춘 특화산업 육성을 꼽았다. 대구상의 관계자는 “역대 정부에서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지만 지역 기업의 위기감은 오히려 심화되고 인력확보나 판로개척, 사업기회 확보도 점점 어려워는 것으로 보인다”며 “차기정부의 인수위원회가 향후 5년의 밑그림을 구체화하는 과정에 지역기업들의 바람인 지역 특화산업 육성을 적극 반영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