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실트론이 구미국가3단지에 3년간 총 1조495억원을 투자한다.
17일 구미시에 따르면 SK실트론이 구미국가3산업단지에 최첨단 반도체 웨이퍼 공장을 증설한다.
SK실트론은 최근 이사회를 열고 300㎜ 웨이퍼 증설 투자를 위한 예산안을 결의했다.
공장 증설 부지는 4만2716㎡(1만2922평) 규모다.
올해 상반기 기초공사를 시작해 2024년 상반기 제품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향후 1000여명 이상 신규 직원을 채용할 예정이다.
이번 투자 결정은 세계 반도체 시장의 웨이퍼 수요 급증과 고객사의 지속적인 공급 요청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글로벌 웨이퍼 제조사들은 최소 2026년까지 공급 부족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경쟁적으로 증설 투자를 발표하고 있다.
최근 데이터 센터에 대한 투자가 지속 확대되고, 반도체 사용량이 높은 5G·EV 시장의 성장하면서 반도체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웨이퍼는 반도체의 기판을 만들기 위한 핵심 소재다.
반도체 생산을 대규모로 확대할 경우 공급 부족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
올해 1월 미국 상무부도 150여개 반도체 공급망 관련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발표하면서 반도체 부족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웨이퍼의 공급 부족을 꼽았다.
장세용 구미시장은 “구미가 다시 한 번 대한민국 산업 중심도시가 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장용호 SK실트론 사장은 “이번 증설 투자는 시장 환경 변화에 대한 정확한 예측과 민첩한 대응을 위한 도전적인 투자”라며 “글로벌 반도체 회사들과의 협업을 통한 기술 혁신으로 고품질의 웨이퍼 제조 역량을 갖춰 글로벌 웨이퍼 업계 리더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