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가 2020년 추석부터 도입한 명절 연휴 경로· 장애인 대상자 전용 사전예매의 예매율이 전체 예매 대비 단 3% 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 17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유경준 의원이 한국철도공사(코레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경로·장애인 사전예매율은 2020년 추석 31.0%, 2021년 설 24.1%, 추석 30.5%, 2022년 설 34.0%, 추석 35.0%, 2023년 설 32.2%, 추석 33.9%로 평균 31.5%다. 코레일은 2020년 추석부터 명절 연휴(설, 추석) 경로·장애인 대상자 전용 사전예매 제도를 도입했다. 일반 예매 1 일 전 전체 공급좌석의 10%를 우선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사전예매율은 전체 예매율의 평균 3.15%에 불과하다. 사전예매는 철도고객센터를 통한 전화접수와 PC나 모바일로 전용 홈페이지에 접속해 온라인으로 예매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문제는 코로나 19 이후로 사라진 현장 예매로 인해 IT에 취약한 노인들이 전화 연결이 안 될 경우 사전예매 일정에 맞춰 온라인으로 예매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유경준 의원은 “좋은 취지로 마련된 경로·장애인 대상 사전예매가 유명무실하다”며 “창구를 운영하는 등 예매채널과 접근성을 늘려 보다 많은 분들이 명절 연휴 열차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