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 학교운동부에서 선수 생활을 하다가 중도에 그만두는 학생이 3년새 2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득구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양만안)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학생선수 중도포기자 수는 2019년 1071명에서 △2020년 1478명 △2021년 2031명 △2022년 2502명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최근 운동부를 운영하는 학교 수가 동반 감소함에 따라, 문체부에서는 올해부터 학교운동부 창단을 지원해 안정적인 학생선수 육성을 하겠다는 계획을 밝힌바 있다. 교육부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2년 5281개였던 운동부 육성 학교 수는 매년 감소 추세를 보여 현재는 4천여개를 유지하고 있으며 학생선수 수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5만 9천여명을 유지하다가, △2022년 5만3053명 △2023년 9월 기준 4만6천명 수준으로 감소했다. 반면 학교운동부 학생선수의 중도탈락은 △2019년 1071명 △2020년 1478명 △2021년 2031명 △2022년 2502명으로 3년새 약 2.5배 급증한 수치를 보였다. 올해 2023년 9월 현재 기준으로는 중도포기자 수가 1781명으로 이는 향후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중도포기자의 주요 사유는 80% 이상이 ‘진로변경’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학생 선수들의 운동 중도 탈락 이후 은퇴한 학생 선수들이 겪는 새로운 환경과 어려움은 학생 선수의 개인의 몫으로 떠안게 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학생선수는 시합이 가까워지면 일정 기간 이내에는 정규 수업에 불참하고 훈련에 집중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학생선수가 중도에 선수를 포기하고 학업에 전념할 때 따라가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중도탈락한 학생선수의 개인환경 변화에 대한 교육적 관점에 대한 분석과 진로 변경으로 인한 개인의 역량과 소질 발휘가 연계될 수 있도록 교육당국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