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지방선거가 끝나기 무섭게 여야 정치권이 다가오는 7·30 국회의원 재·보선을 향해 전력질주하고 있다. 지방선거에서 여야 모두 국민의 마음을 충족하게 얻지 못했다는 성찰 아래 전국적으로 12곳 이상 재·보선을 치르는 이번 `미니 총선`에서 승리, 확실히 정국 주도권을 쥐겠다는 생각에서다. 지방선거 출마 등으로 `과반 의석` 위치를 잃은 여당과 야당이 명운을 건 한 판 승부를 앞두고 있다고 하겠다.이번 재·보선은 매우 막중한 의미를 지니고 았다. 서울을 비롯, 부산 울산, 경기 대전 광주 등 전국적으로 치러지기 때문이다. 또 19대 국회 후반기 원구성에서 여야 관계를 결정짓는다. 이 역학관계는 향후 박근혜 정부의 국정수행과도 맞물려 정치판의 흐름을 좌우하게 될수도 있다. 사실상 정권 중간평가 성격을 띤다. 여야가 총력을 기울이는 이유다. 이 선거에서 어떤 성적을 얻느냐에 따라 정국 향배가 갈리기 때문이다.여야는 이번 재·보선에 걸맞게 정치력을 발휘해야 한다. 당장 7·30 선거일에 앞서 화급을 요하는 국정현안이 기다리고 있다. 먼저 세월호 참사 국조특위가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어야 한다. 책임 규명 및 국가 재난관리시스템 정비는 국정조사 활동 여하에 달렸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여야의 일거수일투족이 곧바로 표로 연결되기 마련이다. 또 국민 안전과 관피아 척결 차원에서 추진되는 국가조직 개편안도 중요하기 그지 없다. 새 국무총리와 후속 개각에 따른 장관들의 인사청문회도 기다리고 있다. 확 달라질 시스템을 다룰 첫 사람을 앉히는 인사에 이전과는 다른 엄중한 검증이 뒤따라야 함은 당연하다.여야가 지금부터 확 달라진 정치력으로 국민에게 다가가야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벌써부터 우려스러운 대목이 있다. 세월호 참사 전후를 바꾸겠다면서도 명망가 중심으로 선거를 치르려는 구태는 경계할 일이다. 유권자가 봐서 깜짝 놀랄 정도로 참신하고 새로운 인물을 후보감으로 찾아내야 하겠다. 여야는 `세월호 이후` 국가 틀과 인사 구성을 염두에 둔 정책대결로 심판을 받겠다는 자세를 유지해야 하겠다. 유권자도 여야 공약과 활동을 꼼꼼할 정도로 보다 세밀히 따져 판단할 때 정치권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