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직업훈련은 생애단계별, 숙련 수준별 일학습 병행이 가능하도록 개편하고 학교중심에서 현장중심으로 변화가 이뤄져야 한다” 방하남 고용노동부 장관은 13일 대구폴리텍에서 열린 ‘한국폴리텍대학 발전방안 보고대회’에 참석, 이같이 강조하고, 공공직업훈련기관의 혁신을 주문했다.  한국폴리텍대는 36개 단위 훈련기관을 권역별 8개 대학으로 운영하고 있다. 연간 15만 명의 산업인력을 교육하고 있으며, 45년간 220만 여명의 국가기간산업 중심의 산업기술인력을 양성해 경제발전을 견인해왔다. 그러나, 그때그때 필요에 따라 훈련과정을 설치해 옴에 따라 훈련과정이 복잡하고 체계성이 미흡하다는 평도 있어  산업학사 학위과정, 직업훈련과정, 재직자 향상훈련과정 등으로 구분·운영되고 있으나 직무수준별 교육 체계화가 부족했고  현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보다 기업 현장 훈련을 확대해야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이같은 미흡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근로 생애단계별, 숙련 수준별 일학습 병행이 가능한 체계적인 직업능력개발체계로 개편하게 된다.  이번 발표된 “폴리텍 발전방안”에 따르면, 폴리텍은 능력중심사회를 만들기 위해 지역의 평생직업능력개발 선도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이 추진된다.또 법인의 권한을 권역대학에 대폭 이양, 지역 교육훈련 수요에 맞춰 교육훈련과정을 개편하고, 교과내용을 결정하는 시스템 을 구축하는 한편, 현행 기능사과정, 다기능기술자과정 및 향상훈련과정은 직업능력수준별로 초급-중급-고급과정으로 전면 개편하고  현행 대학 주도의 집체식 교육훈련을 점진적으로 독일·스위스형 직업학교(일학습병행제) 방식으로 개편한다는 방안이다.또한 일반고 3학년 재학생 대상 직업교육 대폭 확대와 지역별로 전문대학, 산업별단체(SC), 민간훈련기관, 특성화고 등과 연계해 인력양성 및 공급체계 구축,  모듈식 교육, 온-오프라인 블랜디드교육, 주말·야간과정, 개방형 학사제도 등으로 재직자 대상 교육 확대,  근무경력, 자격취득, 훈련결과 등을 학점으로 인정·관리하는 제도를 도입하며 거주지 또는 근무지에서 쉽게 교육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도심형·산업단지형 캠퍼스 확충 등이 추진된다.박종구 한국폴리텍대학 이사장은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가 유럽 최저 수준의 청년 실업률을 보이는 것은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산업현장 중심 교육훈련 때문이라며, 한국폴리텍대학을 지역·산업·기업수요에 맞는 평생직업능력개발기관으로 개편해 능력중심 사회 구현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