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후반기 국회가 시작된다. 이제 새누리당 이완구,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들은 뒤 본격적인 일정에 돌입한다. 이번 국회에서 다루어야 할 가장 중요한 사안은 세월호 참사를 수습하고 법제 제·개정을 통해 새로운 대한민국의 토대를 마련하는 일이다. 세월호 국정조사 특위의 진상 조사, 정부조직법 개정안 등 세월호 참사 후속법안 처리에 한 점 빈틈이 없어야 한다. 특히 ‘김영란법’으로 불리는 공직자 부정청탁금지법도 처리해야 한다.6월 국회는 곳곳이 암초요 지뢰밭이다. 원 구성 협상부터 난항이다. 상임위 개편을 둘러싼 여야의 힘겨루기 탓이다. 새 총리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는 여야의 대결장으로 변할 공산이 크다. 국조 특위에서는 청와대 비서실장과 여권 실세의 증인 채택 문제, 청와대 기관보고 공개 여부로 옥신각신할 개연성도 크다. 7·30 국회의원 재보선을 앞두고 있으니 여야 공방의 수위가 어느 때보다 높을 것은 너무도 자명하다.건강한 정치과정이라면 비판과 갈등을 탓할 일만은 아니다. 하지만 정쟁으로 흐르기 십상이니 걱정이다. 본말이 전도된 정쟁을 봐온 것이 한두 번인가.세월호 참사에서 확인한 적폐를 뿌리뽑는 데 힘을 모으는 것이 6월 국회에 담긴 참뜻이다. 국민은 6·4 지방선거에서 여야 모두에 준엄한 경고장을 던졌다. 정쟁을 접고 대한민국을 다시 일으키는 데 힘을 합치라는 메시지다. 타협과 상생을 주문한 것이다. 6월 국회가 첫 시험대다. 여야는 달라진 모습을 보여야 한다. 세월호 국정조사, 인사청문회는 말할 것도 없고 개혁법안 처리에 적극 나서야 한다.여당은 과거처럼 청와대와 정부 감싸기에 급급해선 안 된다. 야당을 설득하고 타협하는 정치력을 발휘해야 한다. 과감한 양보도 마다할 일이 아니다. 야당도 국민의 이익보다 당리당략을 앞세우는 구태를 벗어야 한다. 국익과 민생을 위해서라면 여당과 대화하고 협조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공직 비리를 뿌리뽑을 김영란법 처리는 여야가 얼마나 변했는지를 가늠할 바로미터다. 여야는 힘을 모아 김영란법 원안을 통과시켜야 한다. 개혁법안 처리에는 등을 돌린 채 7·30 재보선을 겨냥해 엉뚱한 정쟁이나 벌인다면 제 무덤을 파게 된다. 국민은 ‘나라를 바꿀 개혁 정치’를 원하고 있다.박 대통령은 홍보수석에 윤두현 YTN플러스 사장을 임명했다. 청와대와 내각 개편의 신호탄이다. 이번 선거에서 드러난 민심을 깊이 새겨 개혁을 주도할 인적쇄신을 단행해야 한다. 총리, 장관, 청와대 참모진 모두 국민 눈높이에 맞는 인물을 발탁해 개혁에 앞장서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정치는 반드시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 국민의 바람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