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가 1일부터 6월 임시국회를 열고 한 달 간 입법전쟁에 돌입했다. 이번 임시국회는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비롯해 국회법 개정안, 민생·경제활성화 법안 등 여야가 첨예한 이견을 보이는 굵직한 현안이 산적해 격랑이 예고되고 있다. 6월 임시국회에서 다뤄야 할 현안이 산적해 있다. 그 가운데 가장 뜨거운 쟁점은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다. 여야는 황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치열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특히 6월 임시국회 대정부질문에는 현재 법무부 장관직을 겸임하고 있는 황 후보자도 당연 참석 대상이어서 청문회가 본격적으로 열리기도 전에 일찌감치 청문회 정국이 시작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민생·경제활성화 법안들도 녹록치 않다. 여당은 경제활성화를 위해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등의 법안 통과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야당은 이 법안들이 “정말 민생을 위한 것인지 철저하게 따져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청와대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세월호 특별법 시행령 수정을 위한 국회법 개정을 둘러싸고도 충돌이 예상됩니다. 세월호 특별조사위 인력 증원과 활동기간도 논의하기로 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는 데다, 여야가 세월호특별법 시행령 수정안을 6월에 논의하기로 합의한 상황이어서 긴장감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공적연금 개혁 사회적 기구의 인선과 세월호특별조사위의 활동 기한 등을 둘러싸고도 여야 간 첨예한 공방이 예상된다. 총리 인사청문회 등 산적한 현안 가운데 참으로 화급한 것은 민생과 경제살리기 관련법안 처리다. 그제 나온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4월 산업생산은 전월보다 0.3% 줄어 2개월 연속 마이너스 를 기록 중이다. 그런가 하면 중국 경기둔화와 엔화 약세로 수출 출하도 전년 같은기간에 비해 8.1%나 감소했다.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0.5%포인트 가량 하향조정, 3.3% 안팎으로 보고 있다. 일부 연구기관은 아예 2%대 성장을 예고하는 등 위기상황이다. 현 정국은 국회가 정부의 발목을 비틀고 있는 형국이다. 한마디로 총리보도 더 급한 것이 민생-경제관련 법안처리임을 깨달아야 한다. 6월 임시국회에서 민생-경제관련 법안을 반드시 처리해야 한다. 당리당략보다 국가와 국민의 미래를 먼저 생각하는 국회가 돼 주기를 당부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