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원전특별위원회와 경북도당은 8일 경주시청기자실에서 경주 월성1호기의 수명연장을 반대하는 시민들과 뜻을 함께하기로 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새정치민주연합은 지난 대선에서도 노후원전 폐쇄와 신규원전 건설 중단을 공약으로 발표한 바 있지만 저희들은 국가의 에너지 정책은 ‘원전의 질서 있는 후퇴와 재생가능 에너지 전환’을 통한 경제성장 동력 창출 방향이 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첫째, 지난 2월 27일 원자력안전위원회 회의에서도 주민수용성 확보를 전제로 그나마 졸속 승인되었지만 아직 주민 수용성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사실이다.한수원이 제시한 월성1호기 수명연장 주민보상금 1310억원을 기본으로 한 지역상생방안 기본 합의안도 원전과 가장 가까이 있는 양남면 주민들이 반대하는데 양북면, 감포읍 대표들이 함께하는 동경주대책위원회가 일방 수용을 결정한 것은 잘못이다.둘째, 국가의 지나친 전력설비예비율 설정으로 발전소가 남아돌아 지난 해 에는 LNG발전소 가동률이 53.2%였으며 가동률이 낮아져 올해부터는 적자전환을 예측하고 있다. 정부의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5-2029)에는 전력설비 예비율이 22%로 설정된듯한데 미국 등 선진국도 13-15%인 점을 감안하면 지나친 과잉투자이며 따라서 수명을 다한 월성1호기와 고리1호기는 당장 멈추어도 전력 수급에는 아무 지장이 없다.셋째, 우리나라의 국가에너지 정책이 세계적 추세와 거꾸로 가고있으며 경제적으로 효율적이지도 못하다는 점이다.2011년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이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는 사실이 전 세계적으로 확인되면서 독일은 2022년까지 원전 완전 가동 중단을 선언하였고, 중국도 태양광 시설에 집중투자를 계속해 비화석 에너지 발전량 비율을 높여가고 있다.이제 우리나라의 에너지 정책은 원전의 질서있는 후퇴를 준비하고, 신재생에너지, 분산형 전원, 연로전지, 에너지저장장치(ESS)등 경제성장 동력을 창출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에너지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한다.노후원전 폐쇄의 문제는 주민의 안전과 전력수급의 계획, 미래를 위한 에너지 전환을 위해서도 우리가 지금 반드시 선택해야 할 결단의 문제라는 것을 강조 드린다.원전1기의 건설비용이 대개 8000억 이상, 해체비용이 6000억 이상, 중저준위·고준위 폐기물 처리 비용을 계상하면 원전은 경제적이지도 못하다는 사실은 이미 전문가들도 확인하고 있다.원전은 30년을 불안하게 사용하지만 사용 후 해체하는 데는 몇 십 년, 몇 백 년이 걸립니다. 그러면서 원전의 폐기물은 완전한 처리 방법도 없다. 이에 새정치민주연합 원전특별위원회는 “더 이상의 추가 원자력 발전소 건설계획은 철회되어야 하며, 수명를 다한 노후 원전은 즉시 폐쇄를 선언하고 폐로절차를 밟아야 할 것을 다시 한번 주장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