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적 재난에 버금가는 메르스 사태에도 범정부 차원의 선제적 조치를 취하지 못하는 일이 빈발하자 컨트롤타워 설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우후죽순식으로 대책기구가 나오고 있지만 총괄 지휘할 책임자가 불분명해 혼선이 일고 있다. 메르스 사태가 갈수록 악화된 것은 정부가 미숙하게 대응했기 때문이며 더구나 컨트롤타워가 없어서 허둥지둥하는 바람에 사태를 키운 감이 없지 않다. 메르스 사태는 단순히 환자와 의료기관만의 사안이 아니다. 지자체와 군, 교육 경제당국이 연계돼 있는 국정의 위기 국면이다. 따라서 모든 부처를 일사불란하게 지휘·통솔할 컨트롤타워가 필요할 것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현실은 그런 필요성을 외면하고 있다. 최초 환자가 발생한 지난달 20일엔 질병관리본부에 중앙메르스대책본부가, 지난 2일엔 청와대 내에 메르스긴급대책반이, 3일엔 국민안전처 산하에 범정부메르스대책지원본부와 민관합동종합대응 TF가 설치됐다. 여기에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9일 “전문가를 중심으로 즉각대응팀을 만들어 전권을 부여하겠다”고 말하면서 갑작스레 튀어나온 즉각대응팀까지 합치면 비슷한 대응조직이 5개나 된다. 더욱 여기에 더해 최경환 총리대행이 일일점검에 나서는 다원적 구조마저 보이고 있다.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올라간다는데 이래서야 일사불란한 지휘는 애초에 물 건너 간 일이 아닌가.사태가 이 모양이고 보니 야권은 고사하고 여권 내부의 질타가 매섭다.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는 “정부가 메르스 사태와 관련해 컨트롤타워를 명확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친박계 좌장인 서청원 의원은 “박근혜정부 내각에 위기관리를 할 인물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 근본 문제”라고 지적했을 정도다. 메르스사태의 양상이 진정은 커녕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다. 경기도내 41개교 700여명의 학생들이 메르스 확진환자가 입원해 있는 기간에 단체로 건강검진을 받은 경악할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컨트럴타워도 없이 중구난방으로 일을 처리하면서 제 때 정보를 공개하지 않은 때문이다. 범정부적인 사령탑은 없는데 대책기구만 난립한 탓이다. 지금이라도 위기관리 시스템을 이끌 사령탑을 분명하게 설치해야 한다. 대통령이든 총리대행이든 권한과 책임을 분명히 해 전권을 맡아야 한다. 전세계가 우리의 메르스 대처능력을 눈여겨보고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