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지난 17일 지역 첫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확진환자의 동선을 질병관리본부의 매뉴얼 보다 훨씬 광범위하게 실명으로 공개해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대구시는 오후 2시 시청 기자실에서 가진 ‘메르스 확진환자 발생에 따른 방지대책발표’를 통해 메르스 확진환자 A씨(52·공무원)의 지난 3일부터 대구의료원 격리(15일) 전까지 들른 시설 이름을 공개한 것이다. 시의 이 같은 공개범위는 서울시 등 다른 지자체에 비해 매우 이례적이다. 지난달 20일 첫 환자가 발생한 지 18일 만에야 국민들도 메르스와 관련된 병원이 어느 곳인지를 정확하게 알게 한 것과 극명하게 대조된다. 통상 메르스의 최대 잠복기를 14일로 정하고 있다. 따라서 과학적으로 A씨가 발병해 다른 사람들에게 바이러스를 퍼뜨리기 시작하는 날짜는 9-10일경이다. 하지만 대구시는 동선파악 기간을 최대한 확대해 A씨의 발병일자 15일을 기점으로 역으로 14일을 적용해 지난 3일까지 소급한 것이다. 메르스의 경우 고열 등 증세가 있기 전 잠복기간에는 다른 사람에게 감염시킬 우려가 없는데도 식당, 호텔 등 잠복기간 동안의 A씨 동선을 실명공개하게 되면 과도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은 당연하다. 시의 이 같은 공개범위의 확대를 최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상에서 확산되고 있는 유언비어와 대시민 불안감을 차단한다는 의도로 해명하고 있다. 권영진 대구시장도 “공개되는 당사자의 불이익이 크겠지만 악성 유언비어가 떠돌아 시민불안감이 확산되는 상황을 감안해 여러 공익적 판단을 거쳐 결정한 것”이라며 “시장이 책임지겠다. 업체 등의 불이익에 대해 별도의 대책을 마련하겠다”며 다짐하고 있어서 주목된다. 오히려 걱정은 미처 파악하지 못한 A씨와의 접촉자이다. 접촉자가 그제 발표보다 2배가량 늘어난 것도 충격적이지만 파악된 사람이 전부라는 보장도 없다는 점이 마음에 걸린다. 결국 시민들의 자진신고가 중요하지만 A씨처럼 행동한다면 참으로 위중한 국면을 만들게 된다.대구시내는 벌써 과도한 공포분위기에 휩싸여 있고 그 틈을 타 유언비어까지 난무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럴수록 당국은 모든 정보를 공개하면서 방역에 철저를 기하고 시민들은 당국을 신뢰해야 한다. 메르스 공포는 당국과 의료기관, 시민들이 합심하면 반드시 극복할 수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