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원전인 부산 기장 고리 1호기 폐쇄를 결정하면서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를 둘러싼 경북과 부산의 유치전이 본격화 될 전망이다. 향후 수십 년 동안 국내 노후 원전 해체가 잇따를 것으로 전망되면서 국책사업으로 추진되는 원전해체기술산업 종합연구센터(이하 원전해체연)가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이다. 유치하게 되면 2019년까지 1473억원을 들여 7550㎡ 규모의 시설을 구축하게 된다. 2028년까지 투입되는 돈만 13조4554억원에 이른다. 지역의 산업지도가 확 바뀔 메머드사업이다. 부산은 폐쇄될 고리 1호기를 등에 업고 나섰다. 고리 1호기가 우리나라에서 처음 폐기되는 원자력발전소가 된 만큼 이를 해체하는 연구시설도 반드시 부산에 와야 한다는 논리다. 하지만 경북 경주는 더 비중 높은 강점을 내세워 유치전에 몰입 중이다. 국내 원전의 절반이 몰려 있고 방폐장까지 가동 중인 경북이다. 따라서 도는 타시도가 꺼려하는 기피 시설은 다 끌어안고 있는 만큼 원전해체연을 절대로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더욱 국내 유일의 중수로와 경수로 동시 보유 지역(중수로 4, 경수로 7)이며 원자력 관련 핵심기관 한수원, 한국원자력환경공단(경주), 한국전력기술(김천)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이런 배경위에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원자력시설 해체는 정부, 지자체 주도 하에 원전해체 관련 공기업(한수원, 한전KPS, 한국전력기술, 한국원자력환경공단) 간 체계적 협력 하에 추진해야 하는 국책사업이라고 말한다. 따라서 설계(한국전력기술), 건설, 운영(한수원), 정비(한전KPS), 방폐물 처리처분(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 한곳에 모여 있어 원자력의 단계적 처리가 완벽하게 이뤄질 수 있는 경북이 원전해체연이 들어 설 최적지라는 것이다. 그런데도 원전해체연 유치에 전국 8개 지자체들이 눈독을 들이는 것은 세계적으로 원전 해체시장이 무려 1천조원에 달하는데다가 2040년까지 가동 중인 전 세계 430여 기의 원전 중 약 270여 기가 해체돼 약 900억 달러의 시장이 형성될 것이기 때문이다. 관련 산업 발전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원전 해체시장은 글로벌 블루오션이기도 하지만 원전해체연 유치를 놓친다면 경북도의 야심작 원자력클러스터도 실패할 수밖에 없게 된다. 필사즉생의 각오로 유치전에 나서야 할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