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일항쟁기, 6‧25전쟁과 같이 우리 민족에게 큰 상처를 남긴 역사 속에서도 나라를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신 위인은 항상 등장하며 우리는 그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가져왔다. 6월은 바로 그런 분들을 기억하는 ‘호국보훈의 달’이다. 올해 호국보훈의 달은 특히 이러한 감사의 마음을 넘어 호국정신 확산을 통해 ‘국민의 하나 된 마음’으로 분단을 극복하는 데 그 의미를 두고 있다. 앞서 언급한 호국정신은 이 시대의 국가안보상황에 대비해 국민이 나라를 지키려는 정신이며, 안보의식이 군사위협 대비에 중점을 둔 정신이라면 호국정신은 이념갈등 대비에 중점을 둔 정신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호국정신을 꽃피우기 위해서는 현재 대한민국이 처한 안보상황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선행돼야 한다. 이에 국가보훈처는 100여명이 넘는 안보전문가들과 함께 현 안보상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았다. 대한민국의 안보상황은 ‘지정학적으로 주변 4대 강국에 둘러싸인 숙명적 위치’, ‘세계유일의 분단국가로 북한과 70년 간 이념적‧군사적인 대결이 지속되고 있고 그 위협이 점차 심화’, ‘동맹국에 의해 안보를 보장받는 나라로서 한‧미동맹의 축은 전작권과 한‧미연합사 체제인데, 이에 대한 해체 결정과 연기 결정 등 혼란’, ‘세대별, 지역별 안보‧통일 방안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큼’ 갈등 비용이 연간 82조원에서 246조원으로 추산된다.이와 같은 지정학적 위협과 우리 사회의 갈등은 정부의 안보, 경제, 통일 정책 추진에 어려움을 주고 있기 때문에, 국민들이 현 안보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할 필요가 여기에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대부분의 국민들은 안보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고, 이는 결국 호국정신 함양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호국정신의 기본개념을 초‧중‧고, 대학 등 학교 교육에서 가르치고, 성인이 되면 예비군훈련, 민방위훈련, 직장교육 등을 통해 남북이념 대결에 따른 다양한 안보상황을 주기적으로 교육받을 수 있게 해야 한다. 호국정신은 저절로 키워지지 않는다. 지속적인 교육 함께 대한민국이 처한 현 안보상황에 대한 정확한 인식, 그리고 관련예산 확보를 통한 정책적인 지원이 함께 할 때 가능한 일일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