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가계부채 부실위험이 높아지면서 위험가구 수가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은행이 30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가계부실위험지수’를 활용해 2014년 중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위험가구 수는 지난해 112만2000만 가구로 전년(111만8000만 가구)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가구는 가계부실위험지수 기준치(100)을 초과하는 가구로 원리금상환비율(DSR)과 총부채/총자산비율(DTA)이 모두 높은 ‘고위험 가구군’ 뿐만 아니라 소득에 비해 부채상환 부담이 지나치게 높은 ‘고DSR 가구군’, 자산에 비해 과도한 부채를 보유한 ‘고DTA 가구군’도 이번에 포함됐다. 지난해 위험가구 수가 증가한 것은 소액대출 위주의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부실 위험이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한은은 분석했다. 위험가구 비중도 2013년 10.2%에서 10.3%로 다소 늘어났다. 다만 위험가구가 보유한 부채인 위험부채 규모는 지난해 143조원으로 2013년(166조3000억원)보다 줄어들었다. 위험 부채 비율도 22.9%에서 19.3%로 떨어졌다. 위험가구가 증가했는데도 위험부채 규모가 줄어든 것은 위험가구당 금융부채 규모가 1억5000만원에서 1억3000만원으로 감소했기 때문이다.부채가구 전체의 평균적인 부실위험을 평가하는 ‘가계부문위험지수’는 2013년(52)보다 상승한 56.2로 나타났으나 가계부문 부실이 금융기관에 미치는 영향인 `가계대출 위험지수`는 88.7에서 80으로 하락했다. 가계부채 부실위험이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증가한 영향이다.전체 가계부채는 올 1분기(3월말) 기준 1099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의 큰 폭으로 증가했다. 가계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38.1%로 조사됐다. 가계 처분가능소득 대비 부채상환 지출 비율은 지난해 4분기 중 37.7%로 전년 동기(36.6%) 대비 1.1%p 상승했다. 금리 하락에 따라 이자비용이 감소했지만 원금상환액이 증가한 데에 영향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