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8·28 전당대회(전대) 규칙안을 확정하면서 차기 지도부 구성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민주당 당무위는 지난 6일 전대 룰을 의결했다. 이 결과 당 대표 선거는 예비경선(컷오프)에서 중앙위원회 70%, 국민 여론조사 30%를 기준으로 3명을 추려내고, 본 투표에서 대의원 30%, 권리당원 40%, 일반당원 5%, 국민 여론조사 25%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치러질 예정이다. 다만 최고위원 컷오프에서는 당초 비대위 안이었던 ‘중앙위 100%’ 기준을 반영해 8명을 본 투표에 올리기로 했다. 민주당은 앞서 전대 룰로 인한 내홍을 겪었다가 이같은 절충안을 내놓음으로써 갈등 양상이 일단락됐다. 당 대표 컷오프 룰에 국민 여론조사 반영을 유지하면서 반발의 명분이 수그러든 셈이기 때문이다. 이재명 의원의 당 대표 선거 출마가 기정사실로 된 상황에서 이러한 룰 유지는 이 의원의 당선 가능성이 높다는 예상을 더하고 있다. 특히 신명계로 불리는 우원식 의원은 7일 전당대회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이러한 결심의 이유로 “이 의원과 경쟁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는 점을 거론했다. 이와 함께 당초 당 대표 선거 출마 가능성이 비쳤던 박주민 의원은 출마를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출사표를 던진 97세대 그룹과의 경쟁 레이스가 남은 상황이라 어떤 결과가 나올지는 미지수다. 다만 대선 후보였던 이 의원을 향한 지지율은 어떤 후보들보다 높다. 최근 이 의원은 차기 당 대표 적합도 조사에서 33.2%로 단독 1위에 올랐다. 이어 97세대 박용진 의원이 15.0%, 김민석 의원 5.2%, 박주민 의원 5.1%, 이인영 의원 3.9%, 강훈식 의원 2.3%, 강병원 의원 1.8% 순이었다.  ‘어대명(어차피 대표는 이재명)’ 이란 말이 돌 정도로 이 의원을 향한 기대가 높은 상황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최고위원 역시 친명계로 분류되는 인사들로 구성, 소위 이재명 지도부가 탄생할지 여부도 관전 포인트 중 하나다. 최고위원은 컷오프에서 8명을 추려 본 대회에서 5명을 뽑게 된다. 이 의원과 함께 지도부 입성을 목표로 최고위원 선거에 출마할 것으로 알려진 의원들이 다수 있다. 이 의원과 가까운 것으로 알려진 초선 의원 모임 ‘처럼회’ 에서 김남국, 양이원영, 이수진(동작 을), 장경태, 한준호 의원 등이 출사표를 던질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중 다수가 출마 의사를 접었다. 양이원영 의원의 경우 선관위 홍보디지털분과 위원장으로 활동함에 따라 사실상 불출마가 확실하다고 볼 수 있고, 김남국, 한준호 의원도 출마 의사를 접은 것으로 알려졌다. 장경태 의원의 경우 시기가 정해지진 않았으나 최고위원 선거에 출마할 예정이며 박찬대 의원 역시 최고위원 도전을 계획 중이다. 다만 아직 공식적으로 최고위원 출마를 선언한 사람은 정청래 의원 뿐이다. 전대 룰 확정 이후 실제 최고위원 선거 출사표를 던질 것으로 예상되는 인사가 줄긴 했으나 친명계 내 도전자가 많을수록 이재명 지도부 구성 가능성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 정치권 관계자들의 예측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