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가 10일 하루 동안 집단 휴진에 들어간 가운데 정부와 의협측이 크게 차이가 나는 참여율 결과를 내놨다. 의사협회는 이날 오후 6시 현재 총파업 참여율 집계 결과 전체 2만8428개 의원급 의료기관 중 1만3951개 의원이 총파업에 참여, 최종 49.1%의 휴진율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앞서 보건복지부는 이날 낮 12시 기준으로 집단 휴진에 동참한 동네의원은 전국 2만8691곳 중 8339곳으로 29.1%의 휴진율을 보였다고 발표했다. 오후 6시 기준으로는 이보다 적은 20.9%로 집계됐다. 의협과 복지부의 참여율 수치가 이 같이 상이한 이유는 조사 시기와 집계 방식 등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의협은 이날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국 동네의원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전화해 확인하고 각 시도의사회를 통해 점검했다. 전화를 건 시간에 진료를 하지 않고 있으면 참여율에 포함한 것으로, 하루 내내 문을 닫은 곳이 아닌 부분적으로 휴진에 참여한 경우도 휴진 참여로 처리한 것이다. 이에 반? 복지부는 이날 오전과 오후로 나눠 전국 251개 보건소에서 전화를 통해 전수조사한 후 일부 지역은 현장조사를 병행했다. 즉 정부는 이날 오전과 오후 모두 문을 닫은 경우만 휴진율로 처리한 반면 의협은 상대적으로 부분적으로 참여한 경우의 수도 배제하지 않았다. 전공의들의 파업 참여율이 상이한 이유도 이와 다르지 않다.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이날 오후 "전국 전공의 1만7000여명 가운데 응급실, 중환자실 등 필수진료인력을 제외하고 63개 기관, 총 7190명 정도가 투쟁에 참여했다"고 발표했다. 전공의 측 발표대로라면 휴진율은 42% 정도다. 그러나 복지부는 50명 이상 전공의를 수련하는 병원 89곳을 대상으로 전공의 집단 휴진 참여를 조사, 60개 병원에서 4800여명(31%)이 휴진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정부의 총 표본이 50명 미만 전공의 수련기관을 제외한 1만5500명으로 의협보다 1500명 정도 적은 것을 감안해도 차이가 큰 것이다. 대전협은 휴진에 참여했다 잠시 복귀한 경우와 같이 부분적으로 휴진에 참여하는 경우도 포함시킨 반면 정부는 이를 제외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총 동네의원 기관수가 270곳 차이가 난 이유도 양측의 기준이 달랐기 때문이다. 복지부는 의료기관이 급여 청구를 하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기준을 따른 반면 의협은 각 시도의사회에 등록된 회원수를 기준으로 삼았다. 잠시 병원을 쉬거나 이전 등으로 시도의사회에 등록하지 않은 의사들로 인해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