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간(2009~2013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 결정자료를 이용하여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약 78만 명(14.2%)가 증가하였으며, 총 진료비는 약 380억(23.5%)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최근 5년간의 진료인원을 월별(1월~6월)로 분석한 결과 특히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는 3월에 큰 폭으로 증가하여(최근 5년간 평균 20.4%) 6월에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진료인원 중 약 40%가 3,4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알레르기성 비염` 진료인원의 성별 점유율은 남성이 약 45.2%~46.2%, 여성은 53.8%~54.8%로 여성이 5년간 평균 약 1.2배 정도 높았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집먼지 진드기 및 황사, 꽃가루 등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이물질에 의해 코 점막이 자극을 받아 발생하는 질환으로 지속적인 재채기, 맑은 콧물, 코 막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이 감기와 비슷하여 착각하는 경우가 있으나, 감기와 달리 발열 증상이 없고 지속기간이 길다. 위와 같은 증상 외에도 눈의 충혈 및 눈-코 주위 가려움, 후각 감퇴, 두통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합병증으로 중이염, 부비동염, 인후두염, 결막염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이러한 `알레르기성 비염`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약물요법, 면역요법, 수술요법 등이 있다. 심평원 관계자는 "최근 황사 바람으로 인해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가 늘고 있는데, 알레르기성 비염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회피요법으로 집먼지 진드기 제거(침구류, 카펫 등의 실내 청소) 및 황사, 꽃가루 등이 많이 날리는 기간 외출을 삼가야 한다" 며 "그 외에 외출 시 마스크 착용, 외출 후 코 세척 및 가글에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