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가 이제 이틀앞으로 다가왔다. 하지만 선거는 이미 시작됐다. 사전 투표제가 도입됐기 때문이다. 어제까지 이틀간 전국 어디서나 투표를 할 수 있는 사전투표제가 처음으로 실시된 것이다. 사실상 제6대 지방선거의 역사적인 막이 오른 셈이라고 할 수 있다. 지방선거는 4년간 지자체 살림을 책임질 지도자를 뽑는 일이다. 국가의 백년대계라 불리는 차세대 교육을 책임질 교육계의 수장도 선출한다.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과정이다. 이처럼 중차대한 일인 만큼 유권자들의 특별한 관심이 요구된다. 후보들의 면면을 꼼꼼히 따져 보고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과 자질을 갖춘 진정성 있는 사람을 당선시켜야 한다.내 손에 지역 사회의 운명이 달라진다는 자세로 `옥석을 가려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후보들의 공약들을 분석하기는 커녕 선거 홍보물조차 읽어 보지 않고 특정 기호에 도장을 찍는 `묻지 마 선거`가 재연되어서는 절대로 안 된다. 후보들 역시 깨끗한 정책 대결로 선거전에 임해야 한다. 상대 후보를 헐뜯고 비방하는 흑색선전으로 선거전을 이끌어서는 안 된다. 그런 구태의연함을 또다시 보였다가는 민심이 용서치 않을 것이이란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오로지 정책대결로 승부를 가린다는 `페어플레이` 정신으로 선거를 치러야만 유권자들의 마음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할 수 있다. 다른 지역도 마찬가지겠지만 대구, 경북은 고령화 지수가 상당히 높은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떠나는 바람에 활력을 잃은 도시와 농촌이 되어가고 있다고 하겠다. 특히 경북의 경우 `웅도경북`이란 거창한 명성이 퇴색되어가고 있음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국토 양대 축으로서의 위상을 찾아보기가 힘들다. 이번 제 6대 지방선거는 이처럼 대구와 경북이 직면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찾는 수 있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 이번선거가 대구와 경북 시도민들의 가슴에 꿈과 희망을 심어 줄 수 있는 선거축제로 승화되길 기대해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정책 위주의 선거가 되어야 할 것이다. 승패는 오로지 `유권자들의 관심`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