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오늘 황교안 총리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요구서를 국회에 보낼 예정임에 따라 총리인사청문회 정국을 맞게 됐다. 예정대로 26일 청문요구서가 국회에 도달하면 국회는 보름 이내인 6월 9일까지 청문회를 개최하고 청문회가 열린 날로부터 사흘 이내에 청문보고서를 채택해야 하지만 전도는 밝지 않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황 후보자가 해임건의안이 두 번 제출되는 등 장관으로서도 부적격인데 총리라니 어불성설이라며 펄쩍 뛰고 있다.새정치민주연합은 지난 23일에도 당 부대변인 명의의 논평을 내고 “정부로부터 임명동의안이 제출되는 대로 황교안 후보자에 대한 철저하고 엄정한 인사검증으로 그 ‘자격 없음’을 입증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본격적인 청문회 국면으로 접어들면 야당은 우선 법무부 장관으로서 국정원 대선개입사건 수사에 관여했다거나 국제적 망신을 당한 서울시 간첩사건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주로 제기할 것으로 보인다. 또 4·19를 혼란으로 5·16을 혁명으로 표현하는 등의 역사관과 담마진 이라는 일종의 피부병으로 병역을 면제받은 과정에 대한 의혹도 도마위에 오를 전망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밖에 1년 5개월 동안 16억원의 고액 수임료를 받아 전관예우를 받은 것이라는 의혹 역시 법무장관 청문회에 이어 또다시 제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야당의 ‘칼질’을 막아내야 하는 여당의 ‘방패’는 당리당략에 따른 흠집내기 청문회가 아니라 진일보한 청문회 문화가 되도록 하자는 것이 될 것으로 보인다. 조해진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는 “당리당략을 위한 흠집내기를 지양하고 과거 청문회 처럼 청문절차 파행이나 청문회를 마치고도 보고서를 채택하지 않는 문제 등으로 업무공백이 길어져 국민이 눈살을 찌푸리는 일이 없도록 해야 되겠다”고 밝혔다. 조 수석은 이를 위해 “정쟁으로 흐르지 않고 국민 눈높이에서 능력과 자질, 도덕성을 검증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극히 원론적인 이야기이고 여야의 협상력에 달린 일이지만 그런 전통을 세웠으면 한다.황 후보자의 최대 약점은 소통과 통합의 리더십 부족과 공안 통치에 대한 우려이다. 따라서 그런 부정적인 시각을 불식하고 어떻게 국민화합과 사회통합을 추구할 것인지 자신의 경륜과 비전을 제시해야 청문회의 문턱을 넘을 수 있을 것이다.